‘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국악이 처한 새로운 국면은 어떠할까’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작년 봄부터 시작된 국악 공연의 취소와 연기는 정체기를 가져왔지만, 한편으로 비대면 콘텐츠 공간으로서의 인터넷 세상에서의 다양한 움직임은 새로운 국면과 미래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아직 코로나가 끝난 것은 아니지만, 최근 생각해보고 있는 것은 ‘기록’과 ‘기획’이다. 여기서 ‘기록’이라 하는 것은 코로나와 함께 우리가 인터넷 세상에 남긴 콘텐츠로, 한마디로 비대면 공연 영상물들이다. 인터넷 세상이 멸망하지 않는 이상 이것들은 영구적으로 존재할 것이다. 더불어 ‘기획’이라 하는 것은 앞으로 이것들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뜻한다. 결론적으로 그간 인터넷 세상에 쌓인 비대면 콘텐츠(영상물)가 기록물로만 국한되지 않고, 공연과 같은 기획물로 어떻게 하면 될 수 있는가를 고민해보곤 한다.
이러한 영상물들은 ‘공연장 관객’을 넘어 ‘영상물 관객’도 만들어냈다. 코로나 이전에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실황 영상물들을 보면서, 공연만큼이나 남다른 실재감을 불어넣는 그들의 영상기법을 보면서 “언젠가 오페라극장을 한 번도 가보지 않은 오페라 마니아가 생길지도 모른다”라는 내용의 칼럼을 쓴 적이 있다. 특히 공연장을 한 번도 가보지 않은 이들이 인터넷과 접속하여 한 번도 본 적 없는 국악 공연을 접할 수 있게 된 것도 코로나 시대가 준 특권(?)이다.
이 과정에서 생산된 영상물들은 공연장이나 음악가가 조용히 운영하던 온라인 채널에 쌓여 일종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이를 통해 코로나 이전까지 조용히 운영해온 온라인 채널에는 활력이 생기고, 온라인 곡간도 풍성하게 채워졌다.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감염자 발생 후 공연장과 예술단체들은 취소나 잠정적 연기를 내걸며 휴지기에 들어갔지만, 3월경부터 온라인으로 대부분의 공연 활동을 옮겨지고 예술가들이 망명하며 제작하고 비축한 국악 영상물은 2021년의 말인 지금, 계산해보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음을 체감하게 된다.
이 상영회는 코로나 시대에 제작한 영상물을 선보인 자리는 아니었다. 서울남산국악당이 기획한 화제의 공연들을 기록용으로 촬영한 영상물들이었는데, 이러한 영상물이 일종의 콘텐츠로 기획되어 상영된 것이다. 이것들을 제작할 때 훗날 이런 용도로 사용될 줄은 서울남산국악당 측도 몰랐을 것이다.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공연을 영상으로 본다는 것’에 대한 거리낌 없는 관객들의 공연 관람 방식과 유행도 이 상영회의 기획에 한몫했을 것이다. 한편 ‘아픔의 기획’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것은 공연장 본연의 기능인 공연이 마비된 상태임을 고백하는 시간이었고, 기존 기록을 통해서라도 공연장의 공연 기능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였으니 말이다. 이제 이러한 ‘기록’들을 어떻게 ‘기획’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점인 것 같다.
‘기록’과 ‘기획’의 관계는 ‘보관’과 ‘개방’이라는 묘한 상호작용성을 갖는다. 미술에서 수장고 전시는 기록과 보관, 기획과 개방이 묘한 관계를 유지하는 기획이다. 수장고 전시를 행하는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이러한 형태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근·현대 시기의 한국영화를 다루는 한국영상자료원도 그러하다. 굴곡 많은 근현대사 속에서 분실되었던 한국영화의 필름을 찾고 복원하며 ‘기록’에 힘 쏟던 한국영상자료원은 이렇게 쌓인 아카이브를 시민들에게 어떻게 공개하고 선보일지 늘 고민한다. 그 결과 기록물로 자리 잡은 것들을 새롭게 엮어 새로운 기획물을 선보인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볼 때, 지금 인터넷에 수많은 국악 공연의 기록들은 널브러져 있을 뿐, 기획의 옷을 입고 있지 않다.
인터넷 속 국악 공연 기록물에 대한 새로운 기획이 필요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게 된 것은 올해 3월에 있었던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산조대전’ 때문이었다. 3월 17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44명의 연주자가 46개의 산조를 선보였다.
1990년대 말에 나온 ‘뿌리깊은나무 산조전집’과 ‘젊은 산조’ 음반 시리즈가 20세기를 대표하는 산조 모음이었다면,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산조대전’은 21세기를 대표하는 산조의 축제였다.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공연은 좌석 간 거리두기를 전제로 진행되었고, 공연 실황은 1주일도 되지 않아 고화질과 고음질의 영상물로 돈화문국악당 온라인 채널에 업로드되었다. 이를 통해 돈화문국악당은 오늘날의 산조 기록을 역사에 남긴 것이었다.
이러한 영상물들을 기록으로만 놓아두기에는 너무 아깝다. 만약 이러한 기록에도 기획의 옷이 입혀져, 산재한 영상물들을 새롭게 엮어 온라인 축제 같은 것을 해본다면 어떠할까? 기획력을 입힌 온라인 상영회를 통해 이 기록물들을 다시 활용해보면 어떠할까?
한때 기록에만 치중했던 아카이브 문화의 유행도 기획을 통해 공개와 공유로 나아가고 있다. 수집과 수집가도 중요하지만, 재배열과 기획자도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 시대의 기록’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획’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료이자 연료와도 같다.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혹은 갖게 된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자세가 필요한 시간이다.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취급하는 모든 개인정보는 관련 법령상의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정보주체의 동의에 의하여 수집 · 보유 및 처리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30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수립 및 공개)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 · 공개합니다.
위탁 업무 내용 | 수탁업체 | 보유 및 이용 기간 |
---|---|---|
홈페이지 유지관리 |
서울시스템주식회사 (SEOUL SYSTEM CO.LTD.) |
유지운영 계약 종료시까지 |
서버,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유지관리 |
||
남산골한옥마을 자체 매표 시스템 개발 |
남산골한옥마을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정보주체는 남산골한옥마을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남산골한옥마을은 정보주체의 문의에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에 따른 개인 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남산골한옥마을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아래의 기관은 남산골한옥마을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남산골한옥마을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21. 2. 22부터 적용됩니다.
담당자 수정: 2021.02.11 적용